레이저는 유리 절단시 기존에 주로 쓰이던 기계적인 프로세스보다 뛰어난 품질을 보장합니다. 유리를 기계식으로 절단하는 동안 미세한 균열 및 장력의 구조적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아주 느린 속도로만 대체할 수 있었던 것을 레이저가 접촉 없는 가공을 통해 뚜렷히 더 빠른 가공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기존 프로세스로 작업했을 때에는 기계적 컴포넌트의 소모를 초래하고, 제조 컴포넌트의 꾸준히 좋은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해야 했습니다. 레이저는 이러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리 가공

특히 유리 절단에 적합한 것은 바로 초단파 레이저 펄스로써 매우 높은 피크 강도로 인해 유리를 문제 없이 가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최고의 절단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빔 소스와 더불어 최적의 빔 가이드 또한 가장 큰 중요성을 갖습니다. 빔 축을 따라 형성된 빔 가이드도 광학 테크놀로지의 신기술 중 하나이며, 최적의 프로세스 속도 및 이로 인해 유리 절단시 경제성을 가져다줍니다. 따라서 TRUMPF의 선행 개발은 3차원의 빔 가이드를 구축하였고, 이는 투명한 재료 요구에 따라 빔의 완벽한 맞춤 절단을 가능하게 해주었습니다.

기존의 수정되지 않은 레이저 빔은 포커스에 대부분의 강도가 사용되었습니다. 즉 재료의 어블레이션 임계값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었습니다. 빔 가이드의 기본적인 조건은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빔 강도를 최적으로 분배하는 것입니다. 효율성을 최대화하려면 매우 좁은 공간에서 대부분의 강도를 빔의 포커스에 집중시키는 대신 빔 강도가 빔 축에 따라 동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레이저 빔 이송의(또한 이로 인한 프로세스의 경제성을) 일부 자릿수를 초당 1 m까지 끌어올릴 수 있으며,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요약: 레이저 파라미터(예: 펄스 에너지, 펄스 중첩률 및 펄스 반복률)를 알맞게 선택함으로써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이와 더불어 고비용의 후가공도 더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재료 | 유리 |
---|---|
기존 프로세스 | 기계적, 화학적 에칭 |
목표 | 손상률 적은 가공 |
레이저 | TruMicro 5070 / 5270 |
파장 | 1030 nm / 515nm |
광학 시스템 | 스캐너, 고정 광학 |
최대 펄스 에너지 | 150 µJ |
속도 | 3 - 1000 mm/s(각 프로세스 및 형상에 따름) |
이점 | 손상률 적은 가공, 후가공이 필요하지 않음, 접촉 없이 가공이 이뤄져 툴 마모 없음, 미세한 수정에도 임의의 형상 가능, 유연성 |
제품
상담 요청하기